토머스 쿤

위키인용집 - 인용 모음집.

토머스 새뮤얼 쿤(Thomas Samuel Kuhn, 1922년 7월 18일 - 1996년 6월 17일)은 미국의 과학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이다. 《과학 혁명의 구조》로 유명하다. 철학, 심리학, 언어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를 섭렵하여 과학철학에 큰 업적을 남겼다.

어록[편집]

  • 만일 역사가 일화나 연대기 이상의 것들로 채워진 보고(寶庫)라고 간주된다면, 역사는 우리가 지금 홀려 있는 과학의 이미지에 대해서 결정적인 변형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 《과학혁명의 구조》, 1. 서론: 과학의 역할 (김명자 ·홍성욱 역)
  • 이 책에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은 과거에 있었던 하나 이상의 과학적 성취에 확고히 기반을 둔 연구 활동을 뜻하는데, 여기서의 성취는 더 나아간 실천의 토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정 과학자 공동체가 한동안 인정한 것을 말한다.
    • 《과학혁명의 구조》, 2. 정상과학에로의 길 (김명자 ·홍성욱 역)
  • 전반적으로 과학 활동 전체는 종종 유용하다고 증명되며,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질서를 표출하며, 오랫동안 받아들여진 믿음을 시험한다고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연구의 문제에 종사하는 개인들은 이런 유형의 활동은 전혀 하지 않는다.
    • 《과학혁명의 구조》, 4. 퍼즐 풀이로서의 정상과학 (김명자 ·홍성욱 역)
  • 과학철학자들은 어느 주어진 자료의 수집에 의해서 언제나 하나 이상의 이론이 성립될 수 있음을 꾸준히 증명해왔다. 과학의 역사는, 특히 새로운 패러다임의 초기 전개 과정에서는, 그러한 대안들을 고안하는 일이 별로 어렵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과학의 발전에서 전패러다임 단계를 제외하고는, 과학자들은 그런 대안을 창안하는 일을 거의 수행하지 않으며, 그 뒤에 따르는 발달 과정에서도 지극히 특수한 경우에만 이런 일이 일어난다.
    • 《과학혁명의 구조》, 7. 위기 그리고 과학 이론의 출현 (김명자 ·홍성욱 역)
  • 새로운 패러다임을 채택한 과학자는 해석자이기보다는 차라리 거꾸로 보이는 렌즈를 낀 사람과 비슷하다. 이전과 똑같은 무수한 대상들을 마주 대하고 그렇게 변함없는 대상을 보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과학자는 대상들의 세부적인 것의 여기저기에서 속속들이 그 대상들이 변형되었음을 깨닫게 된다.
    • 《과학혁명의 구조》, 10. 세계관의 변화로서의 혁명 (김명자 ·홍성욱 역)
  • 나중의 과학 이론들은 이론들이 적용되는 흔히 상당히 다른 환경들에서 퍼즐을 푸는 데에서 이전의 이론들보다 더 낫다. 이는 상대주의자의 입장이 아니며, 그것은 내가 어떤 의미에서 과학적 진보를 확신하는 신봉자임을 드러낸다.
    • 《과학혁명의 구조》, 후기-1969 (김명자 ·홍성욱 역)
  • 보통 하나의 과학 이론이 선행 이론들보다 낫다고 느껴지는 것은 그것이 단지 퍼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더 나은 도구임을 의미하기보다는, 어떻든 자연이 참으로 무엇과 같은가(what nature is really like)에 대한 더 나은 표상이기 때문이다. 잇따르는 이론들이 진리에 더 가까이 성장해간다거나, 또는 진리에 점점 더 가깝게 근접해간다는 말을 우리는 흔히 듣는다. 명백히, 이와 같은 일반화는 한 이론에서 도출된 퍼즐 풀이나 구체적인 예측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보다는 그 이론의 존재론, 즉 그 이론이 상정한 존재자들과 "진짜 거기에(really there)" 있는 것 사이의 일치를 말하는 것이다.
    아마도 전체 이론에 적용되는 "진리"의 개념을 구제할 다른 방식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이 방식으로는 안 될 것이다. 내 생각에, "진짜 거기"에와 같은 문구를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에 독립적인 방식은 없다. 한 이론의 존재론과 그에 대응하여 자연에 "진짜" 존재하는 것 사이의 일치라는 관념은 이제 내게 원리상 환상에 불과한 것처럼 보인다. 더욱이 과학사학자로서 나는 그런 견해가 그럴듯하지 않다는 인상을 받는다. 이를테면, 나는 퍼즐 풀이의 도구로서 뉴턴의 역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능가하고,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뉴턴의 이론을 능가한다는 것을 의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는 그 이론들이 이어지는 과정에서 어떤 정합적인 존재론적 발전의 방향을 찾을 수 없다. 그 반대로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물론 모든 측면에서는 아니지만,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이 그들과 뉴턴 이론의 거리보다 더 가깝다.
    • 《과학혁명의 구조》, 후기-1969 (김명자 ·홍성욱 역)

관련 어록[편집]

  • 쿤의 주장은 자연과학을 모델로 지식의 객관성과 합리성을 추구하던 인문사회과학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 주었다. 쿤의 연구가 역사적 객관성의 토대를 흔들었지만, 미국 지성사를 연구하던 역사학자 홀링거(David Hollinger)는 쿤을 근거로 역사적 객관성을 새롭게 이해해 보려는 시도를 했다. 그는 쿤이 자연과학의 특성으로 보여 주었던 것은, 과학철학자들이 주장하는 단일한 포괄 법칙(covering law) 없이도 과학이 잘 작동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과학이 이렇다면 역사학자들은 하나의 과학적인 설명을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지금 던지는 상이한 질문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이한 노력의 총체가 바로 역사학이며, 역사학이 지금의 모습 그 자체로 타당성을 가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해석했다. 역사학자들은 자신들의 사관에 따라서 다른 주제에 관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같은 주제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질문을 던지는데, 역사학의 이러한 특성은 서로 다른 역사 해석이 모여서 결국은 우리의 역사 이해를 더 깊게 한다는 역사학자 공동체의 묵시적 합의에 따른 것이며, 쿤의 과학에 대한 해석에 비추어 보면 그 자체가 학문적인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었다. 홀링거는 진리를 추구하는 역사학자들의 동기와 비판적인 질문을 공유하는 역사학자 공동체에 대한 신뢰에 근거한 학문 활동이 역사 연구에 일종의 “원초적인 타당성(primal validity)”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